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025년 9월 카카오 사태 프로필 미공개

2025년 9월 23일 카카오 사태가 벌어졌다.   나는 다행히 앱스토어 설정에 들어가서 자동업데이트를 비활성해서 이번 사태를 잠깐 피해갈 수 있었다.   하지만 유튜브를 보다보니까   이번에 업데이트를 이미 한 사람들에게 나의 프로필이 까발려 진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내 친구한테 알려지는 건 좋은데   카카오톡은 내가 전혀 모르는 사람이나 싫은 사람, 업무적인 사람들 연락처에 있는 모든 사람이나 전화 번호가 변경되서 모르는 사람들도 친구 목록에 표시가 된다.   그런 모든 사람들에게 내 사생활을 강제로 공개되도록 해버렸다는 거에 공포를 느꼈다.   프로필 탭으로 이동해서   내 프로필에서 오른쪽 상단에 설정 버튼이 있고 그걸 클릭하면   프로필 설정들이 있고 거기서 옵션들을 비활성 해주자   “프로필 인증배지 표시”, “내 프로필 검색”, “내 홈 표시” 모두 비활성 해줬다.   솔직히 앞으로 이번 사태 이전으로 롤백을 시키지 않는한 앞으로 프로필에 사진을 올릴거 같지 않다.   이미 앱은 배포가 되었고   이 사태가 벌어진 버전의 앱을 업데이트 하지 않고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을것이다.   (보통은 앱을 배포 하고 강제로 업데이트 유도하지 않는 이상 앱을 업데이트 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만약에 더 프로필 공개에 공포를 느낀다면 프로필에 올린 이미지들을 당장 지우자.   *추가* 숏폼과 오픈채팅을 합쳐놓은 것도 참 거지같은 짓을 한거라고 생각한다.   오픈채팅에 개발이나 다이어트나 여러가지 같은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단체 톡방에 들어가서 커뮤니티를 하고 계실거다.   나도 개발 단체톡방에 들어가서 대화를 하는데   왜 그걸 합쳐놔서   오픈채팅을 들어가기 위해서 무조건 숏폼을 강제로 봐야 한다는 건 참 별로다.   *추가 2* 벌서 온갖 야시시 하고 폭력적인 숏폼에 노출되고 있...

계단 운동 (다이어트 17주차, 9.9kg 감량)

계단 운동 (다이어트 17주차, 9.9kg 감량)



17주차에 접어들었습니다. 


목표 체중에 근접했습니다. 

2차로 목표 체중을 더 낮춰서 조금 더 감량을 할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현재 체중은 딱 BMI 기준으로 과체중과 정상 체중 경계에 있습니다. 

그래서 BMI 기준 정상의 중간 정도 위치하도록 목표 체중을 조정하는 것을 고민해보겠습니다. 


이번주 월요일 측정 체중은 71.2 kg 이었습니다. 

금요일 저녁에 소고기를 먹었더니 토요일 술에 더해서 더 체중이 늘어났습니다. 

그래서 이번 주는 대락 3 kg 조금 안되게 감량을 했내요. (71.2 -> 68.6)

저번주에 비해선 0.6 kg 감량했습니다.


계속 다이어트 음식에 대해서 고민을 해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치킨을 주문해서 3등분이나 4등분으로 소분해서 

한끼를 소분한 치킨을 먹는 것을 생각해보고 있습니다. 





시작 : 2024.11.13

기간 : 2025.3.7 (17주차)


시작 체중 : 78.5

현재 체중 : 68.6

(체중은 아침에 일어나서 밥먹기 전에 측정, 해당 주에 가장 낮은 측정값)


운동방식 : 계단오르기

난이도 : 17층 x 6  = 102층

횟수 : 하루 2번 (102층 x 2 = 204층)

요일 : 월 ~ 토 , 일요일은 쉬고, 토요일은 오전에 1회만 할 수도 있음


이번주 식단

-아침 : 일반 식단 (현미밥 또는 백반 + 반찬, 가끔 빵이나 국수)

-저녁 : 두부김치, 삶은계란, 단백질빵

-토요일 저녁 술 : 소주2 + 맥주500 2-3캔 + 안주2회(치킨, 제육, 고기 등등)


목표 

-목표 체중 : 68 ~ 67

-계단오르기를 목표 달성해도 계속 꾸준히 할 수 있도록 일상생활화 하기 

-중간에 보건소에서 혈액검사 받고 직전 건강검진 결과와 비교

-목표체중에 도달하면 식단과 운동을 조절해서 체중을 빼지 않고 꾸준히 유지하는것을 목표


추가운동1 : 덤벨운동 

기간 : 6주차 (2025.1.13 시작)

이두근(팔) : 스탠딩 덜벨 컬

어깨 : 덤벨 프레스

무게 : 18 kg

1세트 10회 , 총2세트 진행, 하루 1-2회 진행


추가운동2 : 악력기

기간 : 6주차 (2025.1.22 시작)

전완근, 악력

무게 : 약 30 kg

1세트 20회 , 총2세트 진행, 하루 1-2회 진행



*히스토리*

16주차 : 100층 x 2회 = 하루 총 200층, 두부김치, 69.2kg

15주차 : 100층 x 2회 = 하루 총 200층, 두부김치, 69.6kg

14주차 : 100층 x 2회 = 하루 총 200층, 양배추샐러드, 70.3kg, 일본여행

13주차 : 100층 x 2회 = 하루 총 200층, 두부+김치, 70.3kg

12주차 : 100층 x 2회 = 하루 총 200층, 두부+김치 또는 계란3개, 71.7kg, 설연휴

11주차 : 100층 x 2회 = 하루 총 200층, 두부+김치 또는 계란3개, 71.7kg

10주차 : 100층 x 2회 = 하루 총 200층, 두부+김치 또는 계란3개, 72.5kg

9주차 : 100층 x 2회 = 하루 총 200층, 두부+김치 또는 계란3개, 73.5kg

8주차 : 85층 x 2회 = 하루 총 170층, 백오이3개 또는 두부+김치, 75.0kg

7주차 : 85층 x 2회 = 하루 총 170층, 양배추샐러드+훈제계란 또는 백오이3개, 76.5kg

시작 ~ 6주차 : 처음 17층 시작으로 조금씩 층수를 늘려감, 양배추샐러드+훈제계란



15주차 다이어트 중간 점검 & 혈액검사 결과 확인 (링크)


다이어트 음식 : 양배추 샐러드와 웰븐팜스 셀러드 드레싱 (링크)

다이어트 음식 2 : 농심 누들핏 김치 사발면맛 (링크)

다이어트 음식 3 : 두부와 김치 (링크)

다이어트 음식 4 : 널담 단백질빵, 플레인, 야채 (링크)

다이어트 음식 5 : 계란, 삶은 계란 (링크)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애드몹 계정 정지 최대한 방지 하는 방법 (나의 생각)

아직까지는 앱에서 계정 정지가 당하는 사태가 오지 않았지만   주변에 애드몹 계정 정지를 당하는 사태가 아직도 빈번하게 발생을 해서 글을 적어 본다.   1. 테스트 광고 id 사용  ! https://developers.google.com/admob/ios/test-ads?hl=ko   위 사이트 보며 데모 광고 id 가 광고 종류 별로 존재한다.   앱코드에서 개발 모드와 배포 모드로 분기를 할 수 있다면   개발 모드에서는 저 데모 광고 id 를 적용해서 항상 어느 상황이던 데모 광고가 표시되도록 하는게 좋지 않을까 싶다.   2. 테스트 디바이스 id 사용   앱 빌드 하면 로그 창에 테스트 디바이스 id 를 등록하라고 특정 글자가 표시된다.   그걸 아래와 같은 함수에 적용 해주면 테스트 광고가 표시된다.   GADMobileAds.sharedInstance().requestConfiguration.testDeviceIdentifiers   예전 광고 UDID 이슈가 없을 때는 괜찮았는데   요즘은 저 거만 너무 믿으면 저거 적용하기 전에 일반 광고가 표시될 가능성이 높고   저게 주기적으로 빌드하면서 랜덤하게 계속 바뀌어서 엄청 불편하다. 그래서 나는 어느 순간 부터는 저거는 그냥 무시하고 안쓰는 편이고 다음 테스트기기 등록을 하는 편이 더 좋다.   3. 테스트 기기 등록  !!! 애드몹 웹사이트로 이동하면   좌측 메뉴 중에 “설정” - “기기 테스트” 항목에 애플/안드로이드 기기의 광고 ID 를 등록할 수 있다.   등록을 하면 앱 실행 시 바로 광고 ID 가 표시된다.   iOS 경우에는 IDFA 허용 팝업 이후에 테스트 광고가 표시되니까   개인적으로 iOS 개발의 경우에는 처음 앱 실행하고 광고 요청 자체를 IDFA 광고 팝업 후에 하는 것도 좋지 않을까 싶다.  ...

애드몹(AdMob) 앱 광고 수익 2023년 1월 $4000

애드몹(AdMob) 앱 광고 수익 2023년 1월 2023 년 새해 첫 애드몹 수익이 나왔습니다.  저번달 보다 클릭 수는 증가했는데  수익은 줄어든게 좀 인상 깊내요.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항목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애드몹(AdMob) 앱 광고 수익 2023년 3월 $3748

 애드몹(AdMob) 앱 광고 수익 2023년 3월 저번 달과 광고 수익이 거의 비슷합니다.  클릭 수는 저번달에 비해서 17% 줄었지만 광고 수익은 소폭 상승했습니다.  광고 단가가 높았거나 리워드 광고 영향일 수도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