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23일 카카오 사태가 벌어졌다. 나는 다행히 앱스토어 설정에 들어가서 자동업데이트를 비활성해서 이번 사태를 잠깐 피해갈 수 있었다. 하지만 유튜브를 보다보니까 이번에 업데이트를 이미 한 사람들에게 나의 프로필이 까발려 진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내 친구한테 알려지는 건 좋은데 카카오톡은 내가 전혀 모르는 사람이나 싫은 사람, 업무적인 사람들 연락처에 있는 모든 사람이나 전화 번호가 변경되서 모르는 사람들도 친구 목록에 표시가 된다. 그런 모든 사람들에게 내 사생활을 강제로 공개되도록 해버렸다는 거에 공포를 느꼈다. 프로필 탭으로 이동해서 내 프로필에서 오른쪽 상단에 설정 버튼이 있고 그걸 클릭하면 프로필 설정들이 있고 거기서 옵션들을 비활성 해주자 “프로필 인증배지 표시”, “내 프로필 검색”, “내 홈 표시” 모두 비활성 해줬다. 솔직히 앞으로 이번 사태 이전으로 롤백을 시키지 않는한 앞으로 프로필에 사진을 올릴거 같지 않다. 이미 앱은 배포가 되었고 이 사태가 벌어진 버전의 앱을 업데이트 하지 않고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을것이다. (보통은 앱을 배포 하고 강제로 업데이트 유도하지 않는 이상 앱을 업데이트 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만약에 더 프로필 공개에 공포를 느낀다면 프로필에 올린 이미지들을 당장 지우자. *추가* 숏폼과 오픈채팅을 합쳐놓은 것도 참 거지같은 짓을 한거라고 생각한다. 오픈채팅에 개발이나 다이어트나 여러가지 같은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단체 톡방에 들어가서 커뮤니티를 하고 계실거다. 나도 개발 단체톡방에 들어가서 대화를 하는데 왜 그걸 합쳐놔서 오픈채팅을 들어가기 위해서 무조건 숏폼을 강제로 봐야 한다는 건 참 별로다. *추가 2* 벌서 온갖 야시시 하고 폭력적인 숏폼에 노출되고 있...
파일의 사이즈가 보통 bytes 단위로 함수에서 받아오게 되는데
그 bytes 단위 값을 자동으로 기기언어에 맞게 String 형태로 변환을 해준다.
파일 사이즈를 테이블 뷰 셀에서 표현을 하려고 할때
bytes 를 계산을 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최대한 단위를 줄여서 알맞은 포멧으로 반환해주고
String 으로 반환을 해주기 때문에
그냥 UILabel 에 적용해줄 수 있어서 편리하다
// 파일 사이즈를 입력하면 , 현재 기기의 언어에 맞게 , 그리고 단위를 최대한 줄여서 표시해준다. 표시용도로 좋다. !!!!
open class func getFileSizeLocale(_ filesize:Int64, units:ByteCountFormatter.Units = [.useAll], _ includesUnit:Bool = true) -> String {
let formatter = ByteCountFormatter()
formatter.allowedUnits = units
formatter.countStyle = .file
formatter.includesUnit = includesUnit // 결과 포맷 된 문자열에 단위를 포함할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return formatter.string(fromByteCount: filesiz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