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23일 카카오 사태가 벌어졌다. 나는 다행히 앱스토어 설정에 들어가서 자동업데이트를 비활성해서 이번 사태를 잠깐 피해갈 수 있었다. 하지만 유튜브를 보다보니까 이번에 업데이트를 이미 한 사람들에게 나의 프로필이 까발려 진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내 친구한테 알려지는 건 좋은데 카카오톡은 내가 전혀 모르는 사람이나 싫은 사람, 업무적인 사람들 연락처에 있는 모든 사람이나 전화 번호가 변경되서 모르는 사람들도 친구 목록에 표시가 된다. 그런 모든 사람들에게 내 사생활을 강제로 공개되도록 해버렸다는 거에 공포를 느꼈다. 프로필 탭으로 이동해서 내 프로필에서 오른쪽 상단에 설정 버튼이 있고 그걸 클릭하면 프로필 설정들이 있고 거기서 옵션들을 비활성 해주자 “프로필 인증배지 표시”, “내 프로필 검색”, “내 홈 표시” 모두 비활성 해줬다. 솔직히 앞으로 이번 사태 이전으로 롤백을 시키지 않는한 앞으로 프로필에 사진을 올릴거 같지 않다. 이미 앱은 배포가 되었고 이 사태가 벌어진 버전의 앱을 업데이트 하지 않고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을것이다. (보통은 앱을 배포 하고 강제로 업데이트 유도하지 않는 이상 앱을 업데이트 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만약에 더 프로필 공개에 공포를 느낀다면 프로필에 올린 이미지들을 당장 지우자. *추가* 숏폼과 오픈채팅을 합쳐놓은 것도 참 거지같은 짓을 한거라고 생각한다. 오픈채팅에 개발이나 다이어트나 여러가지 같은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단체 톡방에 들어가서 커뮤니티를 하고 계실거다. 나도 개발 단체톡방에 들어가서 대화를 하는데 왜 그걸 합쳐놔서 오픈채팅을 들어가기 위해서 무조건 숏폼을 강제로 봐야 한다는 건 참 별로다. *추가 2* 벌서 온갖 야시시 하고 폭력적인 숏폼에 노출되고 있...
맥에서 사용하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1.1.0) 기준으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기존 제공해주는 key 생성 방식을 이용해서 생서하는 방법 정리
- 먼저 앱을 sign 을 하기위한 화면으로 이동한다
- 아래 화면에서 Generate Signed APK 를 선택
- 다음 화면에서 키가 없으므로 키 생성 진행
- Create new … 버튼을 클릭
- 키 생성화면에서 아래처럼 키 생성
- 키 암호는 6자 이상 (이하로 생성하면 경고창)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는 jks 확장자로 키를 생성할 수 있는데 기존 keystore 와 별 차이는 없는 듯.
- 생성하면 기존 입력했던 정보가 자동 입력되면서 바로 전 화면으로 돌아옴
- 여기서 Next 를 눌러서 아래 화면에서 진행을 하면 배포 또는 디버그용 apk 파일을 만들 수 있음
- 다만 여기는 실제 개발할 때 방금 생성한 디버그 키를 적용하는 방법으로 넘어감
- build.gradle 파일에서 아래처럼 정보를 추가
- signingConfig 정보를 추가해주고
- buildTypes 안에 디버그/릴리즈 일때 정보 추가
signingConfigs {
debug {
storeFile file("/Users/juyoungkim/androidsignkey/debug.jks")
storePassword ""
keyAlias "mydebugkey"
keyPassword ""
}
release {
storeFile file("/Users/juyoungkim/androidsignkey/release.jks")
// storePassword "123456"
// keyAlias "myreleasekey"
// keyPassword "123456"
}
}
buildTypes {
debug {
signingConfig signingConfigs.debug
}
release {
signingConfig signingConfigs.release
minifyEnabled false
proguardFiles getDefaultProguardFile('proguard-android.txt'), 'proguard-rules.pro'
debuggable false
}
}
- 만약 기존 개발하면서 설치한 파일이 있으면 키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지우고 재설치하고 실행할지 묻는 창이 등장을 하는데 확인을 누르면 자동으로 진행이 됨